이천고등학교 사전검사(학생용)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05, .01, .001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01
신뢰도 분석
측정 도구들에 관한 문항 간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02
대응표본 t 검정
AIDT 및 AI 기반 학습데이터를 활용한 교육과정 실시 전후 학생의 창의적사고 역량,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습동기 변화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 특성 분석
538
전체 연구대상자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58
고1 학생 (49.3%)
전체 연구대상자 중 고등학교 1학년 학생 비율
265
고2 학생 (50.7%)
전체 연구대상자 중 고등학교 2학년 학생 비율
신뢰도 분석 개요
본 연구의 척도에서 응답자가 일관성 있게 응답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성이란 측정 문항 간의 내적 일관성을 의미한다.
크론바흐 알파계수
하나의 개념에 대해 여러 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척도에 사용되는 신뢰도 측정 방법을 활용하였다.
기준치 0.7 이상
Cronbach's alpha 값이 0.7 이상일 경우 내적 일관성이 확보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Hair et al.(2006)의 기준에 따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측정 도구들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검증하였다.
창의적사고역량 및 자기주도학습 신뢰도
창의적사고역량 측정 도구
전체 15개 항목의 Cronbach 알파 값은
0.907
로 매우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였다.
참신성(5개 항목): 0.878
적절성(5개 항목): 0.825
합리성(5개 항목): 0.822
자기주도학습 측정 도구
전체 9개 항목에서 Cronbach 알파 값이
0.893
으로 나타났다.
학습계획(3개 항목): 0.895
학습실행(3개 항목): 0.749
학습평가(3개 항목): 0.812
모든 하위 영역이 기준치를 상회하여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학습몰입 및 학습동기 신뢰도 분석
학습몰입 측정 도구
전체 19개 항목에서 Cronbach 알파 값이
0.929
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도전과 능력의 조화: 0.854
행동과 의식의 통합: 0.819
명확한 목표: 0.793
구체적인 피드백: 0.857
과제에 대한 집중: 0.785
학습동기 측정 도구
전체 10개 항목에서 Cronbach 알파 값이
0.869
로 나타났다.
내재적 동기(5개 항목): 0.793
통합적 동기(5개 항목): 0.740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측정 도구는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확보하여 연구에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뢰도 분석 종합 결과
연구 결과 검증: 창의적 사고 역량
AIDT 및 AI 기반 학습데이터를 활용한 교육과정을 실시하기 전과 후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1
사전검사
창의적 사고 역량 전체 평균:
3.61
참신성: 3.35
적절성: 3.72
합리성: 3.75
2
사후검사(예정)
교육과정 실시 후 창의적 사고 역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향상도를 분석하였다.
자기주도학습 변화 분석
AIDT 및 AI 기반 학습데이터를 활용한 교육과정을 실시하기 전과 후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1
사전검사
자기주도학습 전체 평균:
3.35
2
하위 영역 분석
학습계획: 3.10
학습실행: 3.59
학습평가: 3.35
3
사후검사 (예정)
모든 영역에서 향상도 확인
학습몰입 변화 측정 결과
AIDT 및 AI 기반 학습데이터를 활용한 교육과정을 실시하기 전과 후 학생의 학습몰입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1
1
도전과능력의조화
사전검사: 3.14
2
2
행동과의식의통합
사전검사: 3.40
3
3
명확한목표
사전검사: 3.63
4
4
구체적인피드백
사전검사: 3.63
5
5
과제에대한집중
사전검사: 3.67
학습몰입 전체 평균:
3.48
(사전검사)
학습동기 변화 분석 결과
AIDT 및 AI 기반 학습데이터를 활용한 교육과정을 실시하기 전과 후 학생의 학습동기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전체 학습동기
사전검사 평균:
3.62
내재적 동기
사전검사: 3.56
통합적 동기
사전검사: 3.68